수험정보

지게차운전기능사란?

건설 및 유통구조가 대형화되고 기계화됨에 따라 각종 건설공사, 항만 또는 생산작업 현 장에서 지게차 등운반용 건설기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성능기종의 운 반용 건설기계의 개발과 더불어 지게차의 안전운행과 기계수명 연장 및 작업능률 제고 를 위해 숙련기능인력 양성이 요구됨.

수행직무는?

생산현장이나 창고, 부두 등에서 경화물을 적재, 하역 및 운반하기 위하여 지게차를 운 전하며, 점검과 기초적인 정비업무 수행.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합격기준
1차필기
  • 1.지게차 주행
  • 2.화물 적재
  • 3.운반
  • 4.하역
  • 5.안전관리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60분)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2차실기 지게차운전 작업 및 도로주행 작업형(4분 정도)

시행기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 www.q-net.or.kr (큐넷)

2022년 시험일정

국가기술자격 상시시험 12종목(조리(한식, 양식, 중식,일식), 지게차, 굴삭기, 미용(일반, 피부, 네일, 메이크업), 제과, 제빵 기능사)의
시험일정은 큐넷 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진로 및 전망

주로 각종 건설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토목공사업체, 건설기계 제조업체, 금속제 품 제조업체, 항만하역업체, 운송 및 창고업체,
건설기계 대여업체, 시·도 건설사업 소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운반용 건설기계는 건설 및 제조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지만, 그 밖의 산업부문에서도 활용된다.
때문에 건설, 제조업 및 산업전반의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최 근 IMF관리체제 편입이후 경기하락에 따른 어려움이 있었지만, 점차 회복세로 돌아서 면서 건설기계운전인력도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건설부문의 경우 다른 업종에 비 해 회복이 더딘 편이나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규모 정부정책사업(고속철도, 신공 항건설 등)의
활성화와 민간부문의 주택건설증가, 경제발전에 따른 건설촉진등에 의 해 꾸준한 발전이 기대된다.
또한 수출부문도 빠른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항만하역 분야의 운반용 건설기계운전인력의 증가가 기대된다.
동시에 유통구조의 기계화와 대형화에 따른 기능인력수요도 늘어날 전망이다.
참고로 지게차 등록현황을보면 IMF 관리체제 하에서 극심한 경기위축을 나타낸 1998년 제외하면 1993년 이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를 보였다.
(등록대수 1993년 43,946대, 1994년 47,040대, 1995년 53,140대, 1996년 58,844대, 1997년 63,192대, 1998년 62,764대 임).
또한 가동률 도 점차 높아지고 있어 고용증가가 기대된다.

지게차운전기능사

연도 필기응시 필기합격 필기합격률 실기응시 실기합격 실기합격률
2021 101,408 72,818 71.8% 109,940 54,392 49.5%
2020 87,972 59,864 68% 84,612 42,6021 50.3%
2019 94,680 52,446 55.4% 84,944 41,156 48.5%
2018 84,611 45,994 54.4% 65,701 31,756 48.3%
2017 81,520 42,655 52.3% 70,961 33,339 47%
2016 84,449 39,251 46.5% 68,843 33,128 48.1%
2015 82,802 35,364 42.7% 61,979 29,740 48%

간편 상담 예약

평일 09:30 ~21:00

[개인정보 취급방침 원문보기]
  • 고객명
  • 교육과정
  • 연락처 - -
  • 예약시간

실시간 무료상담은 비회원 전용입니다.
상담을 위해 고객님의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동의하시는 분은 상담예약하기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나도패스 회원은 메인페이지 하단 실시간 상담 또는
고객센터 온라인 상담을 이용해주세요.

상담예약하기
닫기

입금 계좌 안내

  • 기업은행478-060436-01-031

예금주 : (주) 세영인포테크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