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정보
산림(산업)기사란?
산에 나무를 심는 것 뿐만 아니라 산에 자라는 나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산림자원을 보호 또한 부대시설인 임도의 개설, 사방·수문·벌출·기계화·측량분야 등 산림의 공학적 분야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임업경영을 수행하면, 인간의 생활환경에 알맞는 산림의 공익적 기능을 발휘될 수 있다. 산림의 공학적 분야를 총괄적으로 이해한 산림 전문가가 산림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해 자격제도를 제정.
수행직무는?
산림과 관련한 기술이론 지식을 가지고 영림계획편성, 경영분석, 산림휴양시설의 설계 및 관리 등의 기술업무를 수행 및 산림실무의 사방설계 및 시공, 임도설계, 시공 임업기계 비용, 기술 등의 직무 수행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합격기준 | ||
---|---|---|---|---|---|
1차 필기 | 기사 | 산업기사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
|
1. 조림학 2. 산림보호학 3. 임업경영학 4. 임도공학 5. 사방공학 |
1. 조림학 2. 산림보호학 3. 임업경영학 4. 산림공학 |
||||
2차 실기 | 산림경영 계획편성 및 산림토목 실무 | 기사 | 산업기사 | ||
복합형[필답형(1시간) + 작업형(3시간 정도)] |
복합형[필답형(1시간) + 작업형(2시간 30분)] |
시행기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 www.q-net.or.kr (큐넷)
2025년 시험일정
※ 회별마다 시행종목이 다르므로 반드시 회별 시행 종목을 큐넷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년도별 회 별 |
필기시험 원서접수 |
필기시험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
응시자격서류제출 (필기시험합격자결정) (방문제출) |
응시자 기준일 |
실기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
실기시험 | 합격자 발표 |
---|---|---|---|---|---|---|---|---|
제1회 | 1. 13(월)∼1. 16(목) | 2. 7(금)∼3. 4(화) | 3. 12(수) | 2. 7(금)∼3. 21(금) | 3. 4(화) | 3. 24(월)∼ 3. 27(목) |
4. 19(토)∼ 5. 9(금) |
6. 5(목)(1차) 6. 13(금)(2차) |
제2회 | 4. 14(월)∼4. 17(목) | 5. 10(토)∼5. 30(금) | 6. 11(수) | 5. 12(월)∼6. 20(금) | 5. 30(금) | 6. 23(월)∼ 6. 26(목) |
7. 19(토)∼ 8. 6(수) |
9. 5(금)(1차) 9. 12(금)(2차) |
제3회 | 7. 21(월)∼7. 24(목) | 8. 9(토)∼9. 1(월) | 9. 10(수) | 8. 11(월)∼9. 19(금) | 9. 1(월) | 9. 22(월)∼ 9. 25(목) |
11. 1(토)∼ 11. 21(금) |
12. 5(금)(1차) 12. 24(수)(2차)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 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 임.
진로 및 전망
산림청, 임업연구원, 각 시·도 산림부서, 임업관련기관이나 산림경영업체, 임업연구 원 등에 진출가능하고,
「산림법」에 따라 임업지도사 자격을 취득하여 산림조합중 회, 산림조합에 임업기술지도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인구의 증가와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공익재 또는 소비재로서의 산림의 역할이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을 뿐 아니라,
정보화 시대에 따른 종이 소비의 증가와 주거 환경에서의 목재 자원의 이용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환경오염에 관한 유력 한 대안으로 산림이 인간의 중요한 자연 환경으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고도산업 사회 에서의 유용한 자원으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다.
산림공학은 산림과학의 한 주요 분야로서, 산림에 필요한 공학적 기술분야를 담당한다.
산림자원을 효율적이고 합리 적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임도의 개설, 사방, 수문, 벌출이 필요하며,
산림이 종합 적으로 개발되어야 인간의 생활환경에 알맞는 산림의 공익적 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산림이 국토의 약 64%를 점유하는 산림국가라 볼 수 있다.
앞으로는 산 림자원의 효율적 이용 및 개발에 관심이 증대될 것이며, 관련자격 취득자가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산림기사
연도 | 필기응시 | 필기합격 | 필기합격률 | 실기응시 | 실기합격 | 실기합격률 |
---|---|---|---|---|---|---|
2022 | 5,057 | 2,259 | 44.7% | 3,071 | 1,453 | 47.3% |
2021 | 5,749 | 2,083 | 36.2% | 2,364 | 1,626 | 68.8% |
2020 | 4,778 | 1,669 | 34.9% | 2,329 | 1,685 | 72.3% |
2019 | 4,876 | 1,794 | 36.8% | 2,721 | 1,517 | 55.8% |
2018 | 4,451 | 1,458 | 32.8% | 2,463 | 1,527 | 62% |
2017 | 4,213 | 1,686 | 40% | 3,118 | 1,406 | 45.1% |
산림(산업)기사
연도 | 필기응시 | 필기합격 | 필기합격률 | 실기응시 | 실기합격 | 실기합격률 |
---|---|---|---|---|---|---|
2022 | 1,782 | 636 | 35.7% | 922 | 461 | 50% |
2021 | 1,856 | 745 | 40.1% | 869 | 570 | 65.6% |
2020 | 1,533 | 644 | 42% | 867 | 415 | 47.9% |
2019 | 1,519 | 492 | 32.4% | 716 | 331 | 46.2% |
2018 | 1,529 | 537 | 35.1% | 733 | 364 | 49.7% |
2017 | 1,726 | 639 | 37% | 919 | 403 | 4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