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정보
배관기능장란?
산업설비 및 건축구조물의 대형화와 정밀화 추세에 따라 배관설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 고 있으며, 작업도 매우 정교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하고 효 율적인 배관시설을 시공하여 생산성 및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반 환경조성과 최상급의 전문기능인력의 양성이 요구되어 자격 제도 제정.
수행직무는?
배관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건축이나 공장 등 배관설비를 필요로 하는 산업 현장에서 배관작업관리, 배관 기능자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등의 업무 수행.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합격기준 |
---|---|---|---|
1차필기 |
|
객관식 60문항 (60분) |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
2차실기 | 배관실무작업형 : 6시간 정도 |
시행기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 www.q-net.or.kr (큐넷)
2025년 시험일정
※ 회별마다 시행종목이 다르므로 반드시 회별 시행 종목을 큐넷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년도별 회 별 |
필기시험 원서접수 |
필기시험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
응시자격서류제출 (필기시험 합격자결정) 방문제출(휴일제외) |
응시자 기준일 |
면접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
면접시험 | 합격자 발표 |
---|---|---|---|---|---|---|---|---|
제77회 | 1. 6(월)∼1. 9(목) | 1. 25(토) | 2. 6(목) | 1. 27(월)∼2. 17(월) | 1. 25(토) | 2. 10(월)∼2. 13(목) | 3. 15(토)∼4. 2(수) | 4.11(금)(1차) 4.18(금)(2차) |
제78회 | 6. 9(월)∼6. 12(목) | 6. 28(토) | 7. 16(수) | 6. 30(월)∼7. 25(금) | 6. 28(토) | 7. 28(월)∼7. 31(목) | 8. 30(토)∼9. 17(수) | 9. 26(금)(1차) 9. 30(화)(2차)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 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 임.
진로 및 전망
주로 건축설비공사업체, 덕트시공업체, 소방설비업체, 고압가스냉동기제조업체, 상· 하수도공사업체, 가스시설공사업체, 특정열사용기자재시공업체,
선박건조 및 수리업 체, 오수·분뇨 정화설계시공업체, 보일러시공전문업체, 플랜트설비업체, 건설업체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도 진출 가능하다. 「송유관 사업법」에 의한 송유관사업체의 안전관리원으로 고용될 수 있다.
- 배관은 크게 건축배관과 공업배관으로 구분되며, 전자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설비로 급수설비, 배수 및 통기설비, 급탕설비, 냉·난방설비,
공기의 청정, 유통과정 등을 제어하는 공기조화설비 외에 위생기구설비, 주방설비, 소화설비 등이 있고, 후자에 는 발전소, 정유공장, 조선,
화학공장의 집진장치배관, 기송배관, 압축공기배관, 화 학공업용배관, 발전소배관 등의 제반 공장설비 등이 있다. 이 중 건축배관은 소규 모 영세업체가 많이 담당하고, 공업배관은 규모가 큰 업체가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이들 배관분야는 경제발전에 소득증대에 따른 대형 사무용 빌딩과 문화체육시설 의 증가, 각종 공장시설의 첨단화 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지만,
배관분야로 진출하려는 젊은 기능공이 줄어들고 있어 인력부족도 예상되 며, 특히 숙련기능인력이 부족할 전망이다.
한편 배관분야로 취업하는데 있어 자격 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고용안정, 고임금 혹은 자영을 위해 취득해두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배관기능장
연도 | 필기응시 | 필기합격 | 필기합격률 | 실기응시 | 실기합격 | 실기합격률 |
---|---|---|---|---|---|---|
2022 | 1,395 | 915 | 65.6% | 1,634 | 466 | 28.5% |
2021 | 1,549 | 1,027 | 66.3% | 1,446 | 578 | 40% |
2020 | 983 | 628 | 63.9% | 1,353 | 554 | 40.9% |
2019 | 1,350 | 839 | 62.1% | 1,582 | 423 | 26.7% |
2018 | 2,026 | 1,030 | 50.8% | 1,630 | 680 | 41.7% |
2017 | 2,426 | 1,443 | 59.5% | 2,342 | 1,229 | 52.5% |
2016 | 2,304 | 1,614 | 70.1% | 2,202 | 1,339 | 60.8% |
2015 | 1,833 | 1,125 | 61.4% | 1,436 | 821 | 5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