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정보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란?

산업장에서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보호 및 증진을 위하여 작업과정 이나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인체공학적 혹은 생물학적 유해요인을 측정·평가하여 관리, 감소 및 제거할 수 있는 고도의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게 됨.

수행직무는?

작업장 및 실내 환경의 쾌적한 환경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작업장 및 실내 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그리고 기타 유해요인에 관한 환경 측정, 시료분석 및 평가(작업환경 및 실내 환경)를 통하여 유해 요인의 노출 정도를 분석⋅평가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제시하며, 산업 환기 점검, 보호구 관리, 공정별 유해 인자 파악 및 유해 물질 관리 등을 실시하며, 보건 교육 훈련, 근로자의 보건 관리 업무를 통하여 환경 시설에 대한 보건 진단 및 개인에 대한 건강 진단 관리, 건장 증진, 개인위생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합격기준
기사 산업기사
1차필기
  • 1. 산업위생학개론
  • 2. 작업위생측정 및 평가
  • 3. 작업환경관리대책
  • 4. 물리적유해인자관리
  • 5. 산업독성학
  • 1. 산업위생학 개론
  • 2. 작업환경측정 및 평가
  • 3. 작업환경관리
  • 4. 산업환기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2차실기 작업환경관리 실무 기사 산업기사
필답형(3시간) 필답형(2시간 30분)

시행기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 www.q-net.or.kr (큐넷)

2025년 시험일정

※ 회별마다 시행종목이 다르므로 반드시 회별 시행 종목을 큐넷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년도별
회 별
필기시험
원서접수
필기시험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응시자격서류제출
(필기시험합격자결정)
(방문제출)
응시자
기준일
실기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실기시험 합격자
발표
제1회 1. 13(월)∼1. 16(목) 2. 7(금)∼3. 4(화) 3. 12(수) 2. 7(금)∼3. 21(금) 3. 4(화) 3. 24(월)∼
3. 27(목)
4. 19(토)∼
5. 9(금)
6. 5(목)(1차)
6. 13(금)(2차)
제2회 4. 14(월)∼4. 17(목) 5. 10(토)∼5. 30(금) 6. 11(수) 5. 12(월)∼6. 20(금) 5. 30(금) 6. 23(월)∼
6. 26(목)
7. 19(토)∼
8. 6(수)
9. 5(금)(1차)
9. 12(금)(2차)
제3회 7. 21(월)∼7. 24(목) 8. 9(토)∼9. 1(월) 9. 10(수) 8. 11(월)∼9. 19(금) 9. 1(월) 9. 22(월)∼
9. 25(목)
11. 1(토)∼
11. 21(금)
12. 5(금)(1차)
12. 24(수)(2차)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 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 임.

진로 및 전망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진출 할 수 있다.
종래 직업병 발생 등 사회문제가 야기된 후에야 수습대책을 모색하는 사후관리차원 에서 벗어나 사전의 근본적 관리제도를 도입, 산업안전보건사항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인증제도의 정착, 질병발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를 신설, 산업인구 의 중·고령화와 과중한 업무 및 스트레스 증가 등 작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부 담작업 관련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병이 점차 증가, 물론 유기용제 등 유 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에 따른 신종직업병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는 등 증가 요인으로 인하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자격취득자의 고용은 증가할 예정이나 사업주 에 대한 안전·보건관련 행정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를 인하여 공공부문 보다 민간부 문에서 인력수요를 증가할 것이다.

활용정보

  • 1) 취업
    • ①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 ② 주로 기계, 금속, 전기, 화학, 목재, 건설 등의 제조업체로 진출하고 있다.
    • ③ 종래 직업병 발생 등 사회문제가 야기된 후에야 수습대책을 모색하는 사후관리차원 에서 벗어나 사전의 근본적 관리제도를 도입, 산업안전보건사항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인증제도의 정착, 질병발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를 신설, 산업인구 의 중·고령화와 과중한 업무 및 스트레스 증가 등 작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부 담작업 관련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병이 점차 증가, 물론 유기용제 등 유 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에 따른 신종직업병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는 등 증가 요인으로 인하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자격취득자의 고용은 증가할 예정이나 사업주 에 대한 안전·보건관련 행정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를 인하여 공공부문 보다 민간부 문에서 인력수요를 증가할 것이다.
  • 2) 우대
    •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사업장에 일정 수 이상의 보건관리자의 채용이 의무화되어 있어 보건관리 분야의 인력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거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고 있다.
  • 3)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산업위생관리기사에게는 농업직렬의 농화학 직류,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폐기물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4) 자격부여
    • 산업위생관리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보건관리자 자격이 주어지고, 보건관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산업위생관리기사

연도 필기응시 필기합격 필기합격률 실기응시 실기합격 실기합격률
2022 7,027 3,343 47.6% 4,613 2,630 57%
2021 5,474 2,825 51.6% 3,316 1,967 59.3%
2020 4,203 2,088 49.7% 2,964 1,801 60.8%
2019 4,084 2,088 51.1% 3,327 1,692 50.9%
2018 3,706 1,766 47.7% 3,114 1,029 33%
2017 3,910 1,916 49% 3,216 1,419 44.1%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연도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2 2,168 732 33.8% 902 555 61.5%
2021 2,032 743 36.6% 890 514 57.8%
2020 1,655 736 44.5% 1,010 594 58.8%
2019 1,862 775 41.6% 1,288 466 36.2%
2018 1,826 763 41.8% 1,308 518 39.6%
2017 1,837 805 43.8% 1,289 355 27.5%
 

간편 상담 예약

평일 09:30 ~18:00

[개인정보 취급방침 원문보기]
  • 고객명
  • 교육과정
  • 연락처 - -
  • 예약시간

실시간 무료상담은 비회원 전용입니다.
상담을 위해 고객님의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
동의하시는 분은 상담예약하기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나도패스 회원은 메인페이지 하단 실시간 상담 또는
고객센터 온라인 상담을 이용해주세요.

상담예약하기
닫기

입금 계좌 안내

  • 기업은행478-060436-01-031

예금주 : (주) 세영인포테크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