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정보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란?
산업장에서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보호 및 증진을 위하여 작업과정 이나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인체공학적 혹은 생물학적 유해요인을 측정·평가하여 관리, 감소 및 제거할 수 있는 고도의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게 됨.
수행직무는?
작업장 및 실내 환경의 쾌적한 환경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작업장 및 실내 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그리고 기타 유해요인에 관한 환경 측정, 시료분석 및 평가(작업환경 및 실내 환경)를 통하여 유해 요인의 노출 정도를 분석⋅평가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제시하며, 산업 환기 점검, 보호구 관리, 공정별 유해 인자 파악 및 유해 물질 관리 등을 실시하며, 보건 교육 훈련, 근로자의 보건 관리 업무를 통하여 환경 시설에 대한 보건 진단 및 개인에 대한 건강 진단 관리, 건장 증진, 개인위생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합격기준 | ||
---|---|---|---|---|---|
기사 | 산업기사 | ||||
1차필기 |
|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
|
2차실기 | 작업환경관리 실무 | 기사 | 산업기사 | ||
필답형(3시간) | 필답형(2시간 30분) |
시행기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 www.q-net.or.kr (큐넷)
2023년 시험일정
※ 회별마다 시행종목이 다르므로 반드시 회별 시행 종목을 큐넷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산업위생관리기사
회별 | 필기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
필기시험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
응시자격서류제출 (필기시험합격자결정) (방문제출) |
실기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
실기시험 | 합격자 발표 |
|||
---|---|---|---|---|---|---|---|---|---|---|
제1회 | 1. 10 ∼ 1. 13 <2월까지 응시자격을 갖춘 자> |
2. 13∼2. 28 | 3. 21 | 2. 13∼3. 31 | 3. 28∼3. 31 | 4. 22∼5. 7 | 6. 9 | |||
1. 16 ∼ 1. 19 <3월까지 응시자격을 갖춘 자> |
3. 1∼3. 15 | 3. 28∼3. 31 | 4. 22∼5. 7 | |||||||
제2회 | 4. 17∼4. 20 | 5. 13∼6. 4 | 6. 14 | 5. 15∼6. 23 | 6. 27∼6. 30 | 7. 22∼8. 6 | 8. 17(1차) 9. 1(2차) |
|||
제3회 | 6. 19∼6. 22 | 7. 8∼7. 23 | 8. 2 | 7. 10∼8. 11 | 9. 4∼9. 7 | 10. 7∼10. 20 | 11. 1(1차) 11. 15(2차)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회별 | 필기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
필기시험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
응시자격서류제출 (필기시험합격자결정) (방문제출) |
실기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
실기시험 | 합격자 발표 |
|||
---|---|---|---|---|---|---|---|---|---|---|
제1회 | 1. 10 ∼ 1. 13 <2월까지 응시자격을 갖춘 자> |
2. 13∼2. 28 | 3. 21 | 2. 13∼3. 31 | 3. 28∼3. 31 | 4. 22∼5. 7 | 6. 9 | |||
1. 16 ∼ 1. 19 <3월까지 응시자격을 갖춘 자> |
3. 1∼3. 15 | 3. 28∼3. 31 | 4. 22∼5. 7 | |||||||
제2회 | 4. 17∼4. 20 | 5. 13∼6. 4 | 6. 14 | 5. 15∼6. 23 | 6. 27∼6. 30 | 7. 22∼8. 6 | 8. 17(1차) 9. 1(2차) |
|||
제3회 | 6. 19∼6. 22 | 7. 8∼7. 23 | 8. 2 | 7. 10∼8. 11 | 9. 4∼9. 7 | 10. 7∼10. 20 | 11. 1(1차) 11. 15(2차)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 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 임.
진로 및 전망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진출 할 수 있다.
종래 직업병 발생 등 사회문제가 야기된 후에야 수습대책을 모색하는 사후관리차원 에서 벗어나 사전의 근본적 관리제도를 도입, 산업안전보건사항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인증제도의 정착, 질병발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를 신설, 산업인구 의 중·고령화와 과중한 업무 및 스트레스 증가 등 작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부 담작업 관련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병이 점차 증가, 물론 유기용제 등 유 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에 따른 신종직업병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는 등 증가 요인으로 인하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자격취득자의 고용은 증가할 예정이나 사업주 에 대한 안전·보건관련 행정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를 인하여 공공부문 보다 민간부 문에서 인력수요를 증가할 것이다.
활용정보
- 1) 취업
- ①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 ② 주로 기계, 금속, 전기, 화학, 목재, 건설 등의 제조업체로 진출하고 있다.
- ③ 종래 직업병 발생 등 사회문제가 야기된 후에야 수습대책을 모색하는 사후관리차원 에서 벗어나 사전의 근본적 관리제도를 도입, 산업안전보건사항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인증제도의 정착, 질병발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를 신설, 산업인구 의 중·고령화와 과중한 업무 및 스트레스 증가 등 작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부 담작업 관련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병이 점차 증가, 물론 유기용제 등 유 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에 따른 신종직업병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는 등 증가 요인으로 인하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자격취득자의 고용은 증가할 예정이나 사업주 에 대한 안전·보건관련 행정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를 인하여 공공부문 보다 민간부 문에서 인력수요를 증가할 것이다.
- 2) 우대
-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사업장에 일정 수 이상의 보건관리자의 채용이 의무화되어 있어 보건관리 분야의 인력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거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고 있다.
- 3)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산업위생관리기사에게는 농업직렬의 농화학 직류,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폐기물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4) 자격부여
- 산업위생관리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보건관리자 자격이 주어지고, 보건관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산업위생관리기사
연도 | 필기응시 | 필기합격 | 필기합격률 | 실기응시 | 실기합격 | 실기합격률 |
---|---|---|---|---|---|---|
2021 | 5,474 | 2,825 | 51.6% | 3,316 | 1,967 | 59.3% |
2020 | 4,203 | 2,088 | 49.7% | 2,964 | 1,801 | 60.8% |
2019 | 4,084 | 2,088 | 51.1% | 3,327 | 1,692 | 50.9% |
2018 | 3,706 | 1,766 | 47.7% | 3,114 | 1,029 | 33% |
2017 | 3,910 | 1,916 | 49% | 3,216 | 1,419 | 44.1%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연도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1 | 2,032 | 743 | 36.6% | 890 | 514 | 57.8% |
2020 | 1,655 | 736 | 44.5% | 1,010 | 594 | 58.8% |
2019 | 1,862 | 775 | 41.6% | 1,288 | 466 | 36.2% |
2018 | 1,826 | 763 | 41.8% | 1,308 | 518 | 39.6% |
2017 | 1,837 | 805 | 43.8% | 1,289 | 355 | 2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