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정보
전기기능사란?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전기기기를 제작, 제조 조작, 운전, 보수 등을 하도록 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
수행직무는?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정지기, 제어장치 또는 빌딩 ,공장, 주택, 및 전력시설물의 전선, 케이블,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일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합격기준 |
---|---|---|---|
1차필기 |
|
전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 (60분) |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
2차실기 | 전기설비 작업 | 작업형(4시간 30분 정도, 전기설비작업) |
시행기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 www.q-net.or.kr (큐넷)
2025년 시험일정
※ 회별마다 시행종목이 다르므로 반드시 회별 시행 종목을 큐넷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산업수요맞춤형고등학교 및 특성화고등학교 등 필기시험 면제자검정 신청기관은 원서접수기간 전, 공단에서 정하는 별도기간까지 관련 서류 사전제출 요망
년도별 회 별 |
필기시험CBT 원서접수 (인터넷) |
필기시험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
실기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
실기시험 | 합격자 발표 |
---|---|---|---|---|---|---|
제1회 | 1. 6(월)∼1. 9(목) | 1. 21(화)∼1. 25(토) | 2. 6(목) | 2. 10(월)∼2. 13(목) | 3. 15(토)∼4. 2(수) | 4. 11(금)(1차) 4. 18(금)(2차) |
제2회 | 3. 17(월)∼3. 21(금) *3.18(화) 제외 |
4. 5(토)∼4. 10(목) | 4. 16(수) | 4. 21(월)∼4. 24(목) | 5. 31(토)∼6. 15(일) | 6. 27(금)(1차) 7. 4(금)(2차) |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 및 특성화고등학교 등 필기시험 면제자 검정 ※ 일반인 필기시험 면제자 응시 불가 |
5. 19(월)∼5. 22(목) | 6. 14(토)∼6. 24(화) | 7. 18(금)(1차) 7. 25(금)(2차) |
|||
제3회 | 6. 9(월)∼ 6. 12(목) | 6. 28(토)∼7. 3(목) | 7. 16(수) | 7. 28(월)∼7. 31(목) | 8. 30(토)∼9. 17(수) | 9. 26(금)(1차) 9. 30(화)(2차) |
제4회 | 8. 25(월)∼8. 28(목) | 9. 20(토)∼9. 25(목) | 10. 15(수) | 10. 20(월)∼10. 23(목) | 11. 22(토)∼12. 10(수) | 12. 19(금)(1차) 12. 24(수)(2차)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10:00 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 임.
진로 및 전망
발전소, 변전소, 전기공작물시설업체, 건설업체, 한국전력공사 및 일반사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등에 취업하여 전기와 관련된 제반시설의 관리 및 검사업무 보조 및 담당할 수 있다.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자격증 취득의 첫단계이다. 설치된 전기시설을 유지·보수하는 인력과 전기제품을 제작하는 인력수요는 계속될 전망이며, 새롭게 등장하는 신기술의 개발로 상위의 기술수준 습득이 요구되므로 꾸준한 자기개발을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활용정보
- 1) 취업
- ① 전기가 사용되는 모든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할 수 있다. 발전소, 변전소, 감리회사, 조명공사업체, 변압기, 발전기, 전동기 수리업체 등 전기공사 시공업체에 취업이 가능하다.
- ②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전기기기제조업체, 전기공사업체, 전기설계전문업체, 전기기기 설비업체, 전기안전관리 대행업체, 환경시설업체, 건설현장, 전기공작물시설업체, 아파트전기실, 빌딩제어실 등에 취업할 수 있다. 전기안전관리자나 전기시설관리자 등으로 활동한다.
- ③전기직 공무원으로 진출하기도 한다.
- ④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 생산업체, 부품제조업체, 일반업체나 공장의 전기부서 등으로도 취업할 수 있다. 전기와 관련된 제반시설의 관리 및 검사를 담당한다.
- ⑤제철소, 제련소, 금속기계제조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 ⑥조선·자동차·항공·전기전자·방위산업체 등으로도 취업이 가능하다.
- 2)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 3)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공업직렬의 전기, 항공우주 직류, 해양수산직렬의 해양교통시설 직류에서 3% 가산점을 준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전기기능사
연도 | 필기응시 | 필기합격 | 필기합격률 | 실기응시 | 실기합격 | 실기합격률 |
---|---|---|---|---|---|---|
2022 | 48,440 | 16,212 | 33.5% | 27,498 | 20,053 | 72.9% |
2021 | 57,148 | 19,587 | 34.3% | 32,755 | 23,473 | 71.7% |
2020 | 49,176 | 18,313 | 37.2% | 31,921 | 21,432 | 67.1% |
2019 | 53,873 | 16,802 | 31.2% | 29,957 | 19,832 | 66.2% |
2018 | 48,832 | 15,176 | 31.1% | 28,488 | 18.138 | 63.7% |
2017 | 44,757 | 13,180 | 29.4% | 25,694 | 17,725 | 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