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정보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란?
산업장에서 쾌적한 작업환경의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보호 및 증진을 위하여 작업과정 이나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인체공학적 혹은 생물학적 유해요인을 측정·평가하여 관리, 감소 및 제거할 수 있는 고도의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게 됨.
수행직무는?
작업장 및 실내 환경의 쾌적한 환경 조성과 근로자의 건강 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작업장 및 실내 환경 내에서 발생되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그리고 기타 유해요인에 관한 환경 측정, 시료분석 및 평가(작업환경 및 실내 환경)를 통하여 유해 요인의 노출 정도를 분석⋅평가하고, 그에 따른 대책을 제시하며, 산업 환기 점검, 보호구 관리, 공정별 유해 인자 파악 및 유해 물질 관리 등을 실시하며, 보건 교육 훈련, 근로자의 보건 관리 업무를 통하여 환경 시설에 대한 보건 진단 및 개인에 대한 건강 진단 관리, 건장 증진, 개인위생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 시험과목 | 검정방법 | 합격기준 | ||
---|---|---|---|---|---|
기사 | 산업기사 | ||||
1차필기 |
|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100점을 만점으로 60점 이상 |
|
2차실기 | 작업환경관리 실무 | 기사 | 산업기사 | ||
필답형(3시간) | 필답형(2시간 30분) |
시행기관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 www.q-net.or.kr (큐넷)
2021년 시험일정
기사
※ 회별마다 시행종목이 다르므로 반드시 회별 시행 종목을 큐넷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기사·서비스 분야 일부종목은 기사 제4회 필기시험부터 CBT 시험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험일정을 별도로 공지예정
년도별 회 별 |
등급 | 1차 접수기간 |
2차 접수기간 |
필기시험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발표 |
응시자격서류제출 (필기시험합격자결정) (방문제출) |
실기시험 원서접수 (인터넷) |
실기시험 | 합격자 발표 |
|
---|---|---|---|---|---|---|---|---|---|---|
기사 | 제1회 | 1.25∼1.28 | 3.7(일) | 3.19(금) | 3.8∼3.30 (휴일 제외) |
3.31∼4.5 (휴일제외) |
4.24∼5.7 | 5.21(1차) 6.2(2차) |
||
산업기사 | 1.26∼1.29 | 3.2∼3.12 | 4.1∼4.6 (휴일제외) |
|||||||
기사 | 제2회 | 4.12∼4.15 | 5.15(토) | 6.2(수) | 5.17∼6.11 (휴일 제외) |
6.14∼6.17 | 7.10~7.23 | 8.6(1차) 8.20(2차) |
||
산업기사 | 4.13∼4.16 | 5.9∼5.19 | 6.15∼6.18 | |||||||
기사 | 제3회 | 7.12∼7.15 | 8.14(토) | 9.1(수) | 8.16∼9.10 (휴일 제외) |
9.13∼9.16 | 10.16∼10.29 | 11.12(1차) 11.26(2차) |
||
산업기사 | 7.13∼7.16 | 8.8∼8.18 | 9.14∼9.17 |
-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09:00 부터 마지막 날 18:00까지 임.
-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00 임.
진로 및 전망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진출 할 수 있다.
종래 직업병 발생 등 사회문제가 야기된 후에야 수습대책을 모색하는 사후관리차원 에서 벗어나 사전의 근본적 관리제도를 도입, 산업안전보건사항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인증제도의 정착, 질병발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를 신설, 산업인구 의 중·고령화와 과중한 업무 및 스트레스 증가 등 작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부 담작업 관련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병이 점차 증가, 물론 유기용제 등 유 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에 따른 신종직업병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는 등 증가 요인으로 인하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자격취득자의 고용은 증가할 예정이나 사업주 에 대한 안전·보건관련 행정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를 인하여 공공부문 보다 민간부 문에서 인력수요를 증가할 것이다.
활용정보
- 1) 취업
- ① 환경 및 보건관련 공무원, 각 산업체의 보건관리자, 작업환경 측정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 ② 주로 기계, 금속, 전기, 화학, 목재, 건설 등의 제조업체로 진출하고 있다.
- ③ 종래 직업병 발생 등 사회문제가 야기된 후에야 수습대책을 모색하는 사후관리차원 에서 벗어나 사전의 근본적 관리제도를 도입, 산업안전보건사항에 대한 국제적 규제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인증제도의 정착, 질병발생의 원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역학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근거(「산업안전보건법」 제6차 개정)를 신설, 산업인구 의 중·고령화와 과중한 업무 및 스트레스 증가 등 작업조건의 변화에 의하여 신체부 담작업 관련 뇌·심혈관계질환 등 작업관련성 질병이 점차 증가, 물론 유기용제 등 유 해 화학물질 사용 증가에 따른 신종직업병 발생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는 등 증가 요인으로 인하여 산업위생관리기술사 자격취득자의 고용은 증가할 예정이나 사업주 에 대한 안전·보건관련 행정규제를 폐지하거나 완화를 인하여 공공부문 보다 민간부 문에서 인력수요를 증가할 것이다.
- 2) 우대
- 사업의 종류 및 규모에 따라 사업장에 일정 수 이상의 보건관리자의 채용이 의무화되어 있어 보건관리 분야의 인력채용 시 자격증 소지자로 응시자격을 제한하거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고 있다.
- 3) 가산점
-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산업위생관리기사에게는 농업직렬의 농화학 직류, 보건직렬의 보건 직류, 환경직렬의 일반환경, 폐기물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 4) 자격부여
- 산업위생관리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보건관리자 자격이 주어지고, 보건관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연도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19 | 4,084 | 2,088 | 51.1% | 3,327 | 1,692 | 50.9% |
2018 | 6,580 | 2,952 | 44.9% | 4,735 | 2,174 | 45.9% |
2017 | 6,869 | 2,396 | 34.9% | 4,721 | 1,013 | 21.5% |
2016 | 6,351 | 2,801 | 44.1% | 4,820 | 1,155 | 24% |
2015 | 6,552 | 2,509 | 38.3% | 4,131 | 1,745 | 42.2% |
2014 | 6,032 | 2,028 | 33.6% | 3,465 | 1,115 | 32.2% |
2013 | 5,221 | 2,277 | 43.6% | 3,221 | 1,570 | 48.7% |
식품(산업)기사
연도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19 | 1,997 | 626 | 31.3% | 673 | 513 | 76.2% |
2018 | 1,794 | 777 | 43.3% | 761 | 595 | 78.2% |
2017 | 1,805 | 585 | 32.4% | 632 | 458 | 47.8% |
2016 | 2,024 | 595 | 29.4% | 629 | 472 | 75% |
2015 | 1,925 | 729 | 37.1%% | 714 | 522 | 73.1% |
2014 | 1,731 | 474 | 27.4% | 467 | 408 | 87.4% |
2013 | 1.865 | 400 | 21.4% | 372 | 286 | 76.9% |